신생아 모유수유 방법
막 태어난 신생아들은 모유수유 할때 엄마 젖을 잘 물지 않는다. 젖 무는 습관이 되지 않아서 잘 물지 않는다. 하지만 아기는 본능이 있기 때문에 물지 않는다고 그냥 두면 안되며 자꾸 아기의 입에 물리면 모유수유를 할 수 있게 된다.
엄마는 출산과 동시에 초유가 나오지만 많은양은 나오지 않지만 신생아가 충분히 먹을 수 있는 양이다. 3일정도가 지나면서 모유의 양이 점차 많아 진다. 모유의 양이 적기 때문에 신생아가 40분~60분에 한번씩 깬다. 그때마다 모유수유를 해주는것이 좋다.
그럼 신생아 모유수유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 보도록하자
- 다음 10가지만 지키면 젖의 양도 많이지고 신생아 모유수유하는 방법도 쉬워요 -
1.자주 젖을 물리고, 분유, 포도당, 물 등 다른음식은 먹이지 마세요
신생아에게 젖을 자주 물릴수록 젖량이 많아지며, 신생아에게 엄머젖 이외에 다른것을 먹이면
너무 배가 불러 자주먹으려 하지 않습니다.
2. 신생아에게 필요한 건 엄마젖 뿐이예요.
출생 후 6개월까지는 엄마젖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다른 음식이나 음료는 필요없습니다.
출산후 2~3일정도는 모유수유중 젖량이 부족해 분유를 먹일까 생각하겠지만 신생아에겐 충분합니다.
그리고 젖에 자극이 많이 될 수록 젖양이 늘어 납니다. 젖이 안나온다고 모유수유 포기하면 안됩니다.
3. 모유수유는 신생아에게 맞추세요
신생아의 모유수유는 시간 맞춰 먹일 필요는 없습니다. 신생아인 아기가 원할 때마다 젖을 물리면되고 더이상 젖이 안나와
젖삼키는 속도가 느려지거나 유방에서 입을 떼면 다른 쪽 젖을 물리면된다.
막 태어난 신생아의 경우 7주일 정도는 젖빠는 힘이 약해서 젖 삼키는 소리가 작아서 안들릴수 있어요
4. 모유수유 하는 아기는 엄마와 항상 같은 방에서 늘 함께 지냅니다.
모유수유 자세는 엄마가 누운 상태에서 젖을 물리세요 아기에게 젖을 먹이는 동안 엄마도 편안히 쉴수 있어요
5. 모유수유할 때는 인공젖꼭지와 우유병은 NO!
신생아가 젖을 잘 빨지 못한다고, 혹은 배가 고플까봐 우유병을 사용하면 젖을 자주 물리지 못합니다.
그러면 젖이 충분히 늘어나지 않습니다.
6. 모유수유는 아기가 입을 크게 벌렸을 때 젖을 물려주세요
젖꼭지를 아기의 입 속 깊숙히 넣어줍니다. 아기와 마주 보고 엄마 가슴과 아기 가슴이, 아기의 얼굴과
엄마의 유방이 정명으로 봐야 합니다. 올바른 젖을 물리면 젖꼭지가 아프지 않아요
아기가 모유수유 하는 도중에 강제로 젖을 빼면 젖에 상처가 날 수 있어요 아기가 젖에서 입을 뗄때까지 기다려주세요
7. 모유수유 할때는 엄마와 아기는 어디든 함께 가세요
처음 몇 주 동안 가야할 곳이 있으면 엄마와 아기는 함께 가세요 아기는 빠는 것을 배우고 엄마의 젖도 자주 자극해야해요
8. 모유수유는 일찍 그리고 자주 먹입니다.
아기가 배고프다는 신호를 보낼때 즉시 먹입니다. 잠에서 깨어 손을 빨고, 입을 먹입니다.
잠에서 깨어 손을 빨고, 입을 오물거리고, 두리번거리고, 기지개를 켜는 등 모든것이 아기가 보내는 신호랍니다.
9.모유수유중 신생아의 목에서 젖 삼키는 소리가 나는지 들어보세요
삼키지 않으면 안 먹는 것입니다. 빨고, 삼키고, 숨 쉬는 것을 확인하세요 아기가 충분히 먹었는지 알수 있어요
신생아의 경우는 잘 들리지 않을 수 있어요 귀기울여 들어보세요^^
10. 모유수유중 궁금한것이나, 도움이 필요하면 망설이지마세요
언제든지 주위 사람들에게 도와달라고 요청하세요 혼자 참고 고민하면 젖먹이기가 어려워집니다.
신생아의 모유수유 방법에 대해서 궁금한 것은 수간호사분이나 모유수유하는 가까운 지인이나 친척등
경험이 있는 분들에게 물어보시면 자세히 알려드릴꺼에요^^
이상, 신생아 모유수유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았네요~ 모유수유 꼭~ 성공하세요^^
'임신육아'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 빈혈에 좋은 음식 (0) | 2013.12.13 |
---|---|
산전검사 항목 및 시기 (0) | 2013.12.04 |
임신20주 증상 (0) | 2013.11.17 |
중기이유식 먹여요 (0) | 2013.11.15 |
임신16주 증상 (0) | 2013.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