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story

갑신정변 14개조 정강

서현이네 스토리 2013. 11. 10. 01:00

갑신정변 14개조 정강

 

왼쪽부터 박영효, 성광범, 서재필, 김옥균

 

 

1. 갑신정변의 원인

갑신정변은 1880년대 초 개화당은 그들의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정치적 비상계획으로서 자금을 어드려는 차관운동을 벌였으나 일본의 비협조로 실패했다. 하여 잠시 후퇴하였으나 임오군란 이후 청국 세력을 배제하고 수구파를 제거하기 위하여 정변을 구체적으로 모의하게 되었다. 개화당은 세재필 등을 행동대로 포섭하고 일본 공사 다케조에로부터 군사적 원조를 다짐 받은 다음 거사를 최종 결심하였다. 김옥균, 박영효가 이끈 개화당은 일본군이 출동한다는 약속 아래, 홍영식이 총판으로 있는 우정국 낙성식(1884. 10. 17.)을 기하여 쿠데타 를 단행 하였다. 곧 새로운 정부를 구성했지만 일본의 배반과 청군의 개입으로 혁명은 삼일천하로 끝나고 말았다. 결과적으로 한성조약이 체결되었고 외세의 내정간섭을 더 한층 불러 일으켰다.

 

 

 

우정국 총판

 

 

2. 갑신정변의 결과

갑신정변은 비록 실패로 돌아갔으나, 500년 동안 내려오던 봉건적 지배체제를 근대적 정치체제로 개혁하려는 최초의 시도였다는 점에 그 역사적 의의가 있다. 그러나 민중에게 기반을 두지 못하고 소수의 선각자에 의한 위로부터는 혁명, 그것도 외세에 의존하여 실현시려는 구태의연한 거사 방법이 성공할 리 없다는 점에서 아쉽다. 

 

 

 

 

3. 갑신정변 14개조 정강

1. 청에 잡혀간 흥선 대원군을 곧 돌아오도록 하게 하며, 종래 청에 대하여 행하던 조공의 허례를 폐지한다.

2. 문벌을 폐지하여 인민 평등의 권리를 세워, 능력에 따라 관리를 임명한다.

3. 지조법을 개혁하여 관리의 부정을 막고 백성을 보호하며, 국가 재저을 넉넉하게 한다.

4. 내시부를 없애고, 그 중에 우수한 인재를 등용한다.

5. 부정한 관리중 그 죄가 심한 자는 치죄한다.

6. 각 도의 환상미를 영구히 받지 않는다.

7. 규장각을 폐지한다.

8. 급히 순사를 두어 도둑을 방지한다.

9. 혜상공국을 혁파한다.

10. 귀양살이를 하고 있는 자와 옥에 갇혀 있는 자는 그 정상을 참작하여 적당히 형을 감한다.

11. 4영을 합하여 1영으로 하되, 영 중에서 장정을 선발하여 근위대를 급히 설치한다.

12. 모든 재정은 호조에서 통할 한다.

13. 대신과 참찬은 의정부에 모여 정령을 의결하고 반포한다.

14. 의정부, 6조 외의 모든 불필요한 기관을 없앤다.